안녕하세요~
돈맛캐슬의 돈맛선생입니다.
오늘은 적립식 배당 ETF 투자를 하고 있는 개인연금저축펀드에 대하여 2024년 4월 ~ 9월 결산을 진행해 보겠습니다.
1. 개인연금저축펀드 2024년 4월 ~ 9월 배당금 수령 내역
2024년 3월까지 배당금 수령 내역을 정리한 후, 글을 작성하지 않아서 중간에 종목도 많이 교체됐는데요. 먼저 종목별로 정리를 진행해 보도록하겠습니다. 그 동안 정산을 미뤄왔기에 8월말까지의 잔고는 고려하지 않고, 종목별 배당금 수령 내역 위주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주력으로 적립하고 있는 한국형 SCHD인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배당금 수령 내역입니다. 원래는 가장 먼저 출시한 SOL미국배당다우존스를 적립하다가 TIGER미국배당다우존스의 주당 배당금이 더 많고, 배당 수익률 측면에서도 더 낫다고 판단되어 7월부터는 TIGER미국배당다우존스를 적립하고 있는데요. 그래서 현재는 기존에 적립식으로 투자한 SOL미국배당다우존스와 함께 TIGER미국배당다우존스를 모으면서 두 개의 ETF로부터 배당금을 받고 있습니다.
그 결과 미국배당다우존스 ETF로부터 매월 34,000원 정도의 배당금을 수령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2024년 9월까지 총 238,846원의 배당금을 수령하여 월 평균으로 계산하면 26,538원 정도의 배당금을 수령하였습니다. 꾸준히 모은 결과 연초대비 월 배당금 수령이 2배 정도 성장한 거같아서 뿌듯하네요.
다음으로 6월부터 미국배당다우존스와 함께 주력으로 모으고 있는 TIGER미국S&P500+10%프리미엄초단기 ETF 배당금 내역입니다. 6월에는 소액으로 모으다가 7월에 리츠 ETF를 모두 매도하고 TIGER미국S&P500+10%프리미엄초단기 ETF로 보유 종목을 변경하였는데요. 원래는 커버드콜 ETF가 배당금은 많이 나오지만, 주가 상승에 대한 수익을 누리지 못 한다고 생각하여 되도록 매수하지 않으려고 했는데, TIGER미국S&P500+10%프리미엄초단기 ETF는 데일리(일일) 옵션을 매도 하는 전략으로 운용하여 S&P500 지수 상승에 따른 수익도 누릴 수 있는 상품이라고 판단되어 주력 종목으로 선택하였습니다. 즉, 높은 배당률과 함께 주가 상승까지 누릴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높은 배당 수익률 덕분에 8월 부터 매월 약 40,000원 정도의 배당금을 수령하고 있습니다.
세 번째로는 TIGER나스닥100+15%프리미엄초단기 ETF 배당금 내역입니다. 이 ETF는 미국배당다우존스 ETF와 TIGER미국S&P500+10%프리미엄초단기 ETF로부터 받은 배당금을 재투자하는 ETF인데요. 수령한 배당금의 복리 효과를 극대화하면서 기술주 위주의 상승장이 올 때를 고려하여 매수하게 됐습니다. 이 ETF 또한 TIGER미국S&P500+10%프리미엄초단기 ETF와 동일하게 데일리 옵션을 매도하는 전략으로 운용되는 ETF로 나스닥100 지수의 상승을 최대한 추적하게끔 설계돼 있습니다. 그래서 높은 월 배당금과 함께 기술주 상승 시 나스닥100 지수의 주가 상승까지 고려하여 적립식으로 매수하고 있습니다. 그래서2024년 8, 9월 2개월 동안 월 12,000원 수준의 배당금을 수령하고 있습니다.
네 번째로는 TIGER미국배당+7%프리미엄다우존스 ETF입니다. 이 ETF는 원래 미국배당다우존스 ETF와 리츠 ETF로부터 받은 배당금 재투자용으로 투자하던 ETF인데, 커버드콜 ETF의 단점과 미국배당다우존스라는 기초자산의 중복성 때문에 5월까지만 보유하고 전량 매도하였습니다. 그래서 2024년 1월~6월까지 총 37,820원의 배당금을 수령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TIGER리츠부동산인프라인데요. 2024년 6월까지만 보유하고 7월까지 배당금 수령한 후 모두 매도하였습니다. 그래서 TIGER리츠부동산인프라 ETF를 통해서는 2024년 1월~7월, 7개월 동안 총 158,108원의 배당금을 수령하였습니다. 현재 배당 리츠 관련 ETF는 IRP계좌에만 모아 가고 있는 중이고, 개인연금저축펀드로는 배당주 관련 ETF로만 운용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 해서는 IRP 계좌 정산 때 종목 등을 정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 2024년 개인연금저축펀드 배당금 총 내역
위에서 개별 종목의 배당금 수령 내역을 정리했고, 위의 ETF들로부터 2024년 1월 ~ 9월 동안 받은 배당금을 총정리 해보면, 총 549,708의 배당금을 수령했습니다. 월 평균으로 계산했을 때는 61,078원 정도의 수준이네요. 이 정도의 배당금 수준이면 매월 지출하는 통신비 정도는 낼 수 있는 수준의 배당금으로 생각됩니다. 이렇게 제가 지출하는 비용과 배당금을 비교해 보니 배당 ETF를 모아가는 재미가 배가 되는 것 같습니다.
3. 2024년 9월 개인연금저축 배당 ETF 매매 내역 및 잔고
이번달에도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ETF를 약 50만원 어치 매수하여 12,000원에 41주 총 492,000원 어치를 매수하였습니다. 그리고 TIGER 미국S&P500+10%프리미엄초단기 ETF의 이름이 바뀌어 TIGER 미국S&P500타겟데일리커버드콜 ETF를 약 25만원 어치 매수하여 10,270원에 24주 총 246,480원 어치를 매수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8월에 배당금 수령했던 것을 재투자하지 않아 계좌에 있던 현금과 9월에 받은 배당금, 그리고 남은 현금을 통해 TIGER 미국나스닥100타겟데일리커버드콜(TIGER미국S&P500+10%프리미엄초단기 ETF 종목명 변경) ETF를 9,380원에 21주 총 196,980원 어치를 매수하였습니다. 그 결과 현재 잔고는 아래와 같습니다.
간략히 잔고 현황을 정리하면, 총 1,650만원 정도 매수하여 +1,233,765원의 평가손익(수익률 +7.45%)를 기록하여 평가금액으로는 1,780만원 수준입니다. 9월에 받은 배당금 87,537원 기준으로 매입금액 기준 배당 수익률을 계산하면 월 배당 수익률은 약 0.53%이고, 연 환산으로는 약 6.35%의 배당 수익률이 기대됩니다. 8월 말에 비해 수량이 조금 늘어났기에 주당 배당금 수준에 따라 이보다 배당 수익률이 좋거나 나쁘거나가 정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잔고 현황을 보면서 아쉬운 점은 미국S&P500과 나스닥100 커버드콜을 매수하기 시작한 이후 주가 흐름이 좋지 않아서 이 두 ETF에서 평가손익이 (-)인 점은 조금 아쉽게 생각되지만, 꾸준히 매수하여 매수평균 단가가 낮아지면 많은 배당금과 함께 평가손익도 나아질 것이라고 생각하며 꾸준히 적립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개인연금저축 2024년 4월 ~ 9월 정산은 여기서 마무리 하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돈맛선생 -
'재테크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형퇴직연금(IRP) 배당 ETF 투자 내역 2024년 4월 ~ 9월 정산 (11) | 2024.10.01 |
---|---|
리얼티인컴(O) 적립식 투자 2024년 4~9월 정리 (3) | 2024.09.28 |
개인연금저축펀드 BAA 전략 2024년 6~8월 정산 (29) | 2024.09.05 |
개인형 퇴직연금(IRP) 한국형 올웨더 전략 2024년 5~8월 정산 (51) | 2024.09.03 |
개인연금저축펀드 퀀트투자 BAA 전략 투자 정산 - 2024년 5월 (2) | 2024.06.15 |
댓글